반응형
사용할 보드는 stm32 nucleo 144보드이다.

사용자 푸쉬버튼(파랑색 버튼), MCU 리셋 버튼(검정색)
프로그램 동작은 Flash Memory에서 돌아감. 코드는 RAM에서 돌아감.



Board Selector-> commercial part Number: NUCLEO-F429ZI
Board List에서 item 선택하고
next 버튼 누른다

계속 next하고 finish

기본 모드로 주변 장치 초기화 yes => perspective open도 yes
이러면 설치끝
좌측에 core->src->main.c
c/c++ perspective는 NO


115line에 while문 안에 코드 추가해서 LED를 켜보겠다.
LD1,2,3는 보드에서 지원하는 LED로 각각 GPIO PORTB의 0번,7번,14번이다.
줄여서 PB0,PB7,PB14라고 명명한다.



ioc 설정화면에 보면 PB0,PB7,PB14가 이미 활성화된 모습을 볼 수 있다.


현재는 사용하는 전자회로가 많이 없어 괜찮으나 많아진다면 USB HUB등을 활용해서 모터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는 것이 회로의 정상 작동에 좋다. USB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는 700mA정도이다.
반응형
'Firmware Programm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STM32F429ZI] Block Diagram (0) | 2023.10.25 |
|---|---|
| [STM32F429ZI] 타이머의 종류 (0) | 2023.10.24 |
| [STM32F429ZI] GPIO를 통한 8Unit-LED 제어(2) (0) | 2023.10.20 |
| [STM32F429ZI] GPIO를 통한 8Unit-LED 제어 (1) | 2023.10.20 |
| [STM32F429ZI] GPIO를 통한 LED 제어 (0) | 2023.10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