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리틀엔디안(little endian)과 빅엔디안(Big endian)
리틀엔디안은 0번지부터 ffff번지까지 업카운트(up count)
빅엔디안은 ffff번지부터 0번지까지 다운카운트(down count)
Linux | Window |
1.Flash ROM에 위치한 Boot Loader를 RAM 으로 올린다. 2. kernel로 os를 RAM에 올린다 3. File System을 올려야 함. |
1. Flash Rom에 위치한 BIOS를 RAM 으로 올린다. 2. command.com으로 os를 올린다 3. windows.com |
1. Boot Loader와 BIOS의 역할: 처음 기기를 켰을 때 기기의 이상유무 파악하고 이상이 없으면 os를 적재 이상이 있으면 os 차단(1.프로그램 올릴 ram이 고장 났을 때 2. 그래픽카드가 고장 났을 때 )
윈도우에서는 bios라고 부르고 임베디드에서는 부트로더라고 부름
2. kernel과 command.com의 역할: 운영체제의 핵심으로 컴퓨터 HW와 프로세스의 보안관리 및 자원 관리(백엔드 느낌)
3. File System과 windows.com의 역할: Android, IOS 등이 여기에 속함. 화면 관리, 인터페이스 관리(프론트엔드 느낌)
-----기타 잡상식-----
펌웨어: 규모가 좀 작은 기기여서 1,2번 즉, boot loader와 linux kernel 까지 안올리는 경우
android는 구글에서 만들어서 배포, ios는 애플에서 만듬 스마트폰 제조사에서는 이걸 받아와서 필요한 기능을 추가해서 판매함.
반응형
'Firmware Programm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rduino] Arduino Wifi Module (ESP8266) 활용 윈도우 pc로 데이터 전송 (0) | 2024.01.31 |
---|---|
[STM32F429ZI] 8x8 LED (1088BS) 제어 (0) | 2024.01.18 |
[STM32F429ZI] Block Diagram (0) | 2023.10.25 |
[STM32F429ZI] 타이머의 종류 (0) | 2023.10.24 |
[STM32F429ZI] GPIO를 통한 8Unit-LED 제어(2) (0) | 2023.10.20 |